Apatrapya (original) (raw)
愧(き)(梵: apatrāpya、अपत्राप्य)は、仏教が教える善のひとつ。「自己の罪に対する畏怖」、もしくは「他を観察することによっておのれの過失を恥じること」。他人に対して恥じること。しばしば「慚愧」として扱われる。 涅槃経には、「慚はみづから罪を作らず、愧は他を教へてなさしめず。慚は内にみづから羞恥す、愧は発露して人に向かふ。慚は人に羞づ、愧は天に羞づ。これを慚愧と名づく。無慚愧は名づけて人とせず、名づけて畜生とす。」と説かれている。
Property | Value |
---|---|
dbo:abstract | Apatrapya (Sanskrit, also apatrāpya; Pali: ottappa; Tibetan Wylie: khrel yod pa) is a Buddhist term translated as "decorum" or "shame". It is defined as shunning unwholesome actions so as to not be reproached by others of good character. It is one of the virtuous mental factors within the Abhidharma teachings. The Abhidharma-samuccaya states: What is apatrapya? It is to avoid what is objectionable in the eyes of others. The difference between hri (self-respect) and apatrapya (decorum) is that hri means to refrain from unwholesome actions due to one's own conscience, while apatrapya means to refrain from unwholesome actions to avoid being reproached by others. (en) 괴(愧, 뉘우침, 참회, 산스크리트어: apatrāpya, 팔리어: ottappa, 영어: decorum,shame,consideration,propriety)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선심소(善心所: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괴(愧)는 계(戒) · 정(定) · 혜(慧)의 공덕이 있는 자의 꾸짖음에 의지하여 자신이 범한 불선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는 또는 남이 범한 불선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작용이다. 즉 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 혹은 둘 다의 의미에서의 남부끄러워 하는 마음작용이다. 즉, 참회(懺悔) 즉 뉘우침을 뜻한다. 흔히 일반적으로 참(慚)과 괴(愧)는 한데 묶어서 (慚愧 또는 慙愧: 매우 부끄러워함)라고 하는데, 설일체유부와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은 이 둘을 분별하고 있다. 설일체유부의 중현(衆賢)은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에서, 참(慚)이란 참다운 진리로 나아감으로써 스스로[我]와 법(法)에 대해 뛰어난 힘이 생겨나서, 애(愛: 애탐, 탐욕)의 등류(等流)를 거스릴려는 마음의 자재성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괴(愧)는 수습(修習)을 애락하고 공덕을 우선하는 것으로서, 치(癡: 어리석음, 무명)의 등류(等流)를 어기고 열등한 법을 혐오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ko) 愧(き)(梵: apatrāpya、अपत्राप्य)は、仏教が教える善のひとつ。「自己の罪に対する畏怖」、もしくは「他を観察することによっておのれの過失を恥じること」。他人に対して恥じること。しばしば「慚愧」として扱われる。 涅槃経には、「慚はみづから罪を作らず、愧は他を教へてなさしめず。慚は内にみづから羞恥す、愧は発露して人に向かふ。慚は人に羞づ、愧は天に羞づ。これを慚愧と名づく。無慚愧は名づけて人とせず、名づけて畜生とす。」と説かれている。 (ja) 愧(梵語:अपत्राप्य,apatrāpya,巴利語:ottappa),佛教術語,字面意義為端正或羞恥。對於不好的行為感到羞恥,而拒絕去做,改正為良好行為,稱為愧。這是一種良好的心所,說一切有部將其列入大善地法中。 其反義為(an-apatrāpya)。 (zh) |
dbo:wikiPageExternalLink | http://rywiki.tsadra.org/index.php/khrel_yod_pa |
dbo:wikiPageID | 35020307 (xsd:integer) |
dbo:wikiPageLength | 2146 (xsd:nonNegativeInteger) |
dbo:wikiPageRevisionID | 1030188585 (xsd:integer) |
dbo:wikiPageWikiLink | dbr:Hri_(Buddhism) dbr:Mental_factors_(Buddhism) dbr:Rangjung_Yeshe_Wiki dbr:Erik_Pema_Kunsang dbr:THL_Simplified_Phonetic_Transcription dbr:Buddhism dbr:Abhidharma dbc:Morality dbr:Abhidharma-samuccaya dbc:Sanskrit_words_and_phrases dbc:Religion_and_peace dbc:Wholesome_factors_in_Buddhism dbr:Wylie_transliteration dbr:Herbert_V._Guenther |
dbp:bo | ཁྲེལ་ཡོད་པ། (en) |
dbp:boLatn | THL: trelyö pa (en) Wylie: khrel yod pa; (en) |
dbp:en | consideration, (en) decorum, (en) propriety (en) shame, (en) |
dbp:fontsize | 100.0 (dbd:perCent) |
dbp:ko | 괴 (en) |
dbp:koLatn | goi (en) |
dbp:pi | ottappa (en) |
dbp:sa | apatrapya, apatrāpya (en) |
dbp:title | Apatrapya (en) |
dbp:wikiPageUsesTemplate | dbt:Reflist dbt:Buddhist_term |
dbp:zh | 愧 / 愧 (en) |
dct:subject | dbc:Morality dbc:Sanskrit_words_and_phrases dbc:Religion_and_peace dbc:Wholesome_factors_in_Buddhism |
gold:hypernym | dbr:Term |
rdf:type | yago:WikicatBuddhistPhilosophicalConcepts yago:Abstraction100002137 yago:Cognition100023271 yago:Concept105835747 yago:Content105809192 yago:Idea105833840 yago:PsychologicalFeature100023100 |
rdfs:comment | 愧(き)(梵: apatrāpya、अपत्राप्य)は、仏教が教える善のひとつ。「自己の罪に対する畏怖」、もしくは「他を観察することによっておのれの過失を恥じること」。他人に対して恥じること。しばしば「慚愧」として扱われる。 涅槃経には、「慚はみづから罪を作らず、愧は他を教へてなさしめず。慚は内にみづから羞恥す、愧は発露して人に向かふ。慚は人に羞づ、愧は天に羞づ。これを慚愧と名づく。無慚愧は名づけて人とせず、名づけて畜生とす。」と説かれている。 (ja) 愧(梵語:अपत्राप्य,apatrāpya,巴利語:ottappa),佛教術語,字面意義為端正或羞恥。對於不好的行為感到羞恥,而拒絕去做,改正為良好行為,稱為愧。這是一種良好的心所,說一切有部將其列入大善地法中。 其反義為(an-apatrāpya)。 (zh) Apatrapya (Sanskrit, also apatrāpya; Pali: ottappa; Tibetan Wylie: khrel yod pa) is a Buddhist term translated as "decorum" or "shame". It is defined as shunning unwholesome actions so as to not be reproached by others of good character. It is one of the virtuous mental factors within the Abhidharma teachings. The Abhidharma-samuccaya states: What is apatrapya? It is to avoid what is objectionable in the eyes of others. (en) 괴(愧, 뉘우침, 참회, 산스크리트어: apatrāpya, 팔리어: ottappa, 영어: decorum,shame,consideration,propriety)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선심소(善心所: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괴(愧)는 계(戒) · 정(定) · 혜(慧)의 공덕이 있는 자의 꾸짖음에 의지하여 자신이 범한 불선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는 또는 남이 범한 불선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작용이다. 즉 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 혹은 둘 다의 의미에서의 남부끄러워 하는 마음작용이다. 즉, 참회(懺悔) 즉 뉘우침을 뜻한다. (ko) |
rdfs:label | Apatrapya (en) 괴 (불교) (ko) 愧 (ja) 愧 (佛教) (zh) |
owl:sameAs | freebase:Apatrapya yago-res:Apatrapya wikidata:Apatrapya dbpedia-ja:Apatrapya dbpedia-ko:Apatrapya dbpedia-zh:Apatrapya https://global.dbpedia.org/id/4yiav |
prov:wasDerivedFrom | wikipedia-en:Apatrapya?oldid=1030188585&ns=0 |
foaf:isPrimaryTopicOf | wikipedia-en:Apatrapya |
is dbo:wikiPageRedirects of | dbr:Apatrāpya dbr:Ottappa |
is dbo:wikiPageWikiLink of | dbr:Pratītyasamutpāda dbr:Buddhism dbr:Buddhist_ethics dbr:Hrī_(Buddhism) dbr:Apatrāpya dbr:Yogācārabhūmi-Śāstra dbr:Ottappa |
is foaf:primaryTopic of | wikipedia-en:Apatrapy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