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iseration thesis (original) (raw)
In Marxist theory and Marxian economics, the immiseration thesis, also referred to as emiseration thesis, is derived from Karl Marx's analysis of economic development in capitalism, implying that the nature of capitalist production stabilizes real wages, reducing wage growth relative to total value creation in the economy, leading to the increasing power of capital in society. The immiseration thesis is related to Marx's analysis of the rising organic composition of capital and reduced demand for labor relative to capital equipment as technology develops.
Property | Value |
---|---|
dbo:abstract | Unter Verelendungstheorien werden Theorien verstanden, die eine Verelendung der Proletarier im Zuge der Industrialisierung, bzw. der Arbeiterklasse unter kapitalistischen Produktionsverhältnissen behaupten. Zu unterscheiden ist einerseits zwischen einer Theorie der absoluten Verelendung, die von ständigem Absinken des Reallohns und des Lebensstandards der Arbeiter ausgeht und andererseits einer Theorie der relativen Verelendung, nach welcher der Einkommensunterschied zwischen Armen und Reichen immer weiter zunimmt. Die Verelendungstheorie konnte durch die gesellschaftliche Entwicklung in den hoch entwickelten Industrieländern nicht bestätigt werden. Die Theorie der absoluten Verelendung wird heute nicht mehr vertreten, heute dreht sich die wissenschaftliche Frage um den Lebensstandard nicht mehr darum, ob die industrielle Revolution den Menschen besser stellte, sondern wann sie das tat. Gegen die relative Verelendungstheorie wird der langfristige Anstieg der Lohnquote vom 19. Jahrhundert bis in die 1970er Jahre ins Feld geführt. Nach Erich Arndt ist jedoch „diese sehr langfristige Steigerung [...] wohl nicht nur auf das Wirksamwerden eines Machtausgleichs der Gewerkschaften auf dem Arbeitsmarkt, sondern vor allem auch auf das relative Anwachsen der Zahl unselbständig Beschäftigter zurückzuführen.“ (de) In Marxist theory and Marxian economics, the immiseration thesis, also referred to as emiseration thesis, is derived from Karl Marx's analysis of economic development in capitalism, implying that the nature of capitalist production stabilizes real wages, reducing wage growth relative to total value creation in the economy, leading to the increasing power of capital in society. The immiseration thesis is related to Marx's analysis of the rising organic composition of capital and reduced demand for labor relative to capital equipment as technology develops. (en) 궁핍화(窮乏化, immiseration)란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하고 자본축적이 점점 진행되어 감에 따라 노동자의 노동조건이나 생활 상태가 상대적으로나 절대적으로 악화하여 빈곤화하는 경향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상대적인 궁핍화란 상대적 임금, 즉 잉여가치와 비교한 임금의 비중이 점차로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며, 절대적인 궁핍화란 실질임금의 저하나 또는 노동강화(예를 들면 노동시간의 연장이나 노동강도를 고도화하는 것)의 증진을 뜻한다. 어느 것이나 모두 마르크스 경제학이 주장하는 궁핍화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자본주의 경제가 극대이윤추구(極大利潤追求)를 지도원리로 삼고 있음은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의 발전은 이 이윤을 동인(動因)으로 하는 자본의 축적과 집적(集積) 집중(集中)의 과정이다. 이와 같이 자본주의 경제가 진전함에 따라서 불변자본(생산수단의 가치)과 가변자본을 그 내용으로 하는 자본의 가치 구성에서는 전자에 한층 더 중점을 둔 변화가 출현한다. 또한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기본적인 결합(結合)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노동력만이 사용되는 관계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가변자본 부분의 상대적인 감소와 노동절약적인 투하자본의 진행은 당연히 잉여분의 노동력 인구를 끝없이 배출하여 산업예비군의 풀을 넘치게 한다. 또 한편 자본구성의 고도화는 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이윤율의 하락 경향을 생기게 하고, 이윤획득을 위하여 더 많은 자본축적과 과잉 노동인구의 출현에 박차를 가함으로 노동자계급에게는 상대적인 임금뿐만 아니라, 실질임금의 저락을 불가피하게 함과 동시에 자본에의 예속화도 한층 심화된다고 한다. 또한 유휴설비(遊休設備)나 만성적 실업(失業)이 출현하는 공황시의 일반적인 위기시대에는 궁핍화는 훨씬 강화되는 것이 필연적이다. 이상 기술한 바의 궁핍화 이론은 오늘날에 와서 이른바 ‘소득혁명’과 ‘경영자혁명’의 논의에 의해서 비판받고 있다. 제2차 대전 이후 미국을 위시하여 소득의 증가에 따른 저소득계층의 상대적 소득상승과 일부 소수 고액소득자의 소득감퇴 등의 현상이 나타나서 소득분배의 평준화가 일어나고 국민소득 중에서 차지하고 있는 임금, 봉급소득의 비중이 점차로 상승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노동조합의 공헌이 지대하지만 한편, 전후의 경험은 노동자계급의 빈곤화와는 아주 대조적인 양상을 띠고 있다. 또한 자본주의 경제를 맡고 있는 주역이 오늘날에도 반드시 자본가인 것은 아니고, 그 기능상으로도 오히려 샐러리맨 경영자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이윤원칙과 축적원리에 입각한 궁핍화 이론은 현실성을 상실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궁핍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ko) |
dbo:wikiPageID | 38646906 (xsd:integer) |
dbo:wikiPageLength | 8877 (xsd:nonNegativeInteger) |
dbo:wikiPageRevisionID | 1074406650 (xsd:integer) |
dbo:wikiPageWikiLink | dbr:Capital_accumulation dbr:Capitalist_mode_of_production_(Marxist_theory) dbr:Productive_forces dbr:David_Ricardo dbr:Relations_of_production dbr:Unfree_labour dbr:Marx's_theory_of_alienation dbr:Max_Horkheimer dbr:Organic_composition_of_capital dbr:Constant_capital dbr:Crisis_theory dbr:Critique_of_political_economy dbr:Frankfurt_School dbc:Capitalism dbr:Wage_slavery dbr:Das_Kapital dbr:Ferdinand_Lassalle dbr:Capitalism dbr:Means_of_production dbr:Private_property dbr:Iron_law_of_wages dbr:Wage_Labour_and_Capital dbr:Real_wage dbc:Marxian_economics dbc:Socialism dbc:Labour_economics dbr:Karl_Marx dbr:Surplus_value dbr:Economic_interventionism dbr:Theodor_Adorno dbr:Dialectic dbr:Raymond_Geuss dbr:Centralized_state_planning dbr:Marxian_economics dbr:Wage_labour dbr:Rate_of_exploitation dbr:Technological_unemployment dbr:Variable_capital dbr:Marxist_theory dbr:Wikisource:Das_Kapital_Volume_One/Chapter_25 |
dbp:wikiPageUsesTemplate | dbt:Sister-inline dbt:Citation_needed dbt:Main dbt:Quotation dbt:Reflist dbt:Short_description dbt:Marxism |
dct:subject | dbc:Capitalism dbc:Marxian_economics dbc:Socialism dbc:Labour_economics |
rdfs:comment | In Marxist theory and Marxian economics, the immiseration thesis, also referred to as emiseration thesis, is derived from Karl Marx's analysis of economic development in capitalism, implying that the nature of capitalist production stabilizes real wages, reducing wage growth relative to total value creation in the economy, leading to the increasing power of capital in society. The immiseration thesis is related to Marx's analysis of the rising organic composition of capital and reduced demand for labor relative to capital equipment as technology develops. (en) Unter Verelendungstheorien werden Theorien verstanden, die eine Verelendung der Proletarier im Zuge der Industrialisierung, bzw. der Arbeiterklasse unter kapitalistischen Produktionsverhältnissen behaupten. Zu unterscheiden ist einerseits zwischen einer Theorie der absoluten Verelendung, die von ständigem Absinken des Reallohns und des Lebensstandards der Arbeiter ausgeht und andererseits einer Theorie der relativen Verelendung, nach welcher der Einkommensunterschied zwischen Armen und Reichen immer weiter zunimmt. (de) 궁핍화(窮乏化, immiseration)란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하고 자본축적이 점점 진행되어 감에 따라 노동자의 노동조건이나 생활 상태가 상대적으로나 절대적으로 악화하여 빈곤화하는 경향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상대적인 궁핍화란 상대적 임금, 즉 잉여가치와 비교한 임금의 비중이 점차로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며, 절대적인 궁핍화란 실질임금의 저하나 또는 노동강화(예를 들면 노동시간의 연장이나 노동강도를 고도화하는 것)의 증진을 뜻한다. 어느 것이나 모두 마르크스 경제학이 주장하는 궁핍화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자본주의 경제가 극대이윤추구(極大利潤追求)를 지도원리로 삼고 있음은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의 발전은 이 이윤을 동인(動因)으로 하는 자본의 축적과 집적(集積) 집중(集中)의 과정이다. 이와 같이 자본주의 경제가 진전함에 따라서 불변자본(생산수단의 가치)과 가변자본을 그 내용으로 하는 자본의 가치 구성에서는 전자에 한층 더 중점을 둔 변화가 출현한다. 또한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기본적인 결합(結合)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노동력만이 사용되는 관계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가변자본 부분의 상대적인 감소와 노동절약적인 투하자본의 진행은 당연히 잉여분의 노동력 인구를 끝없이 배출하여 산업예비군의 풀을 넘치게 한다. 또 한편 자본구성의 고도화는 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이윤율의 하락 경향을 생기게 하고, 이윤획득을 위하여 더 많은 자본축적과 과잉 노동인구의 출현에 박차를 가함으로 노동자계급에게는 상대적인 임금뿐만 아니라, 실질임금의 저락을 불가피하게 함과 동시에 자본에의 예속화도 한층 심화 (ko) |
rdfs:label | Verelendungstheorie (de) Immiseration thesis (en) 궁핍화 (ko) |
owl:sameAs | freebase:Immiseration thesis wikidata:Immiseration thesis dbpedia-de:Immiseration thesis dbpedia-ko:Immiseration thesis dbpedia-tr:Immiseration thesis https://global.dbpedia.org/id/2Nayj |
prov:wasDerivedFrom | wikipedia-en:Immiseration_thesis?oldid=1074406650&ns=0 |
foaf:isPrimaryTopicOf | wikipedia-en:Immiseration_thesis |
is dbo:wikiPageRedirects of | dbr:Emiseration dbr:Emiseration_thesis dbr:Emmiseration dbr:Immiseration |
is dbo:wikiPageWikiLink of | dbr:Capitalist_mode_of_production_(Marxist_theory) dbr:History_of_social_democracy dbr:Criticism_of_capitalism dbr:Tendency_of_the_rate_of_profit_to_fall dbr:George_Osborne dbr:1936–1939_Arab_revolt_in_Palestine dbr:Das_Kapital dbr:Emiseration dbr:Emiseration_thesis dbr:Emmiseration dbr:Wage_labour dbr:Immiseration |
is foaf:primaryTopic of | wikipedia-en:Immiseration_the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