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Kyu-wan (original) (raw)

About DBpedia

Lee Kyu-wan (hangul 이규완 李圭完; November 15, 1862 - December 15, 1946) was a politician, philosopher, and revolutionist during Korea's Joseon period. His Japanese names were Asada Ryo (아사다 료, 淺田良) and Asada Ryoichi (아사다 료이치, 淺田良一). In 1884, he was one of several military leaders in the brief Gapsin Coup, a Japanese-supported attempt to overthrow the royal palace in Seoul.

thumbnail

Property Value
dbo:abstract Lee Kyu-wan (hangul 이규완 李圭完; November 15, 1862 - December 15, 1946) was a politician, philosopher, and revolutionist during Korea's Joseon period. His Japanese names were Asada Ryo (아사다 료, 淺田良) and Asada Ryoichi (아사다 료이치, 淺田良一). In 1884, he was one of several military leaders in the brief Gapsin Coup, a Japanese-supported attempt to overthrow the royal palace in Seoul. (en) Lee Kyu-wan, né le 15 novembre 1862 et mort le 15 décembre 1946, est un homme d'État coréen durant la dynastie Joseon et de la Corée du Sud. Membre du mouvement nationaliste, il est en exil au Japon entre 1884 et 1894, 1895 et en 1898. Il est gouverneur de la province de Gangwon entre 1907 et 1918. Il devient gouverneur de la province de Hamgyong du Sud en 1918, jusqu'en 1924. (fr) (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이규완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다. 그는 박영효의 식객이 되었다가 갑신정변에 행동대장 격으로 참여한 인물로, 박영효의 집사 출신이었다. 그는 서재필 등과 함께 병조 소속 군사를 이끌고 수구파 대신을 척살하는 역할을 하였다. 세종대왕의 왕자 임영대군의 15대손이었으나 가계는 몰락하여 그는 무학으로 불우한 나날을 보내던 중 박영효에게 발탁되어 그의 청지기가 되었으며, 1883년 박영효, 서재필 등의 천거로 일본에 유학, (戶山陸軍下士官學敎)에서 군사훈련을 받고 귀국했다. 1884년 12월의 갑신정변에 조련국 소속 군사들을 이끌고 가담하였다. 갑신정변이 실패하자 일본에 망명, 이후 망명과 귀국을 반복하다 1907년 3월 귀국하고, 7월 고종 퇴위 후 사면되었다. 이후 (統衛營正領官), 경무청 경무관(警務廳警務官), (警務副使)를 역임했다. 일본에서는 김옥균을 살해하도록 사주받은 박영효 암살 미수범 무리를 사전에 잡아 일본 경찰에 넘겼다. 1895년 7월 8일 명성황후 암살 미수에 연루되어 망명한 뒤, 귀국과 망명을 되풀이했다. 1898년 귀국하여 독립협회 활동을 지원하는 동시에 고종 폐위를 기도했다가 다시 일본으로 망명했다. 이후 1907년(융희 1년) 7월 귀국하여 중추원 부찬의, 수강원도관찰사(守江原道觀察使) 등을 역임하고, 1910년(융희 4년) 10월 한일 합방 조약 체결 이후에도 강원도도장관에 임명되었다. 1910년 10월 강원도도장관에 유임된 뒤 1918년 함경남도 도장관을 지냈으며, 1924년 사직서를 제출한 뒤 중추원 참의직과 고위직 제안을 물리치고 시골로 내려가 황무지를 개간하고 농장을 경영하였다. 농장, 농업, 황무지 개간 외에는 기업 활동에 참여하거나, 주주로 간접 참여했다. 그는 조선인들도 일본의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는 참정권 획득론과 자치론을 주장하였다. 1924년 동양척식회사의 고문을 지냈고, 1927년 신간회와 에도 참여하였다. 해방후 강원도지사 고문을 지냈다. 춘천농공고등학교의 초대 교장이기도 하다. 춘천농공고는 1910년 4월 29일 당시 강원도 관찰사인 이규완이 초대 교장을 겸임하고, 사립 측량학교를 가교사를 빌려 1년제의 춘천공립실업학교를 개교한 뒤 그 해 9월 춘천공립농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다른 이름은 규관(圭寬) 또는 규완(奎完), 주완(走完)으로 망명 생활을 하면서 여러 가명을 사용하였다. 일본식 이름은 아사다 료(淺田良) 혹은 아사다 료이치(淺田良一)다. 갑신정변 실패 이후 망명길에 일본 선원 쓰지 도쥬로(辻藤十郞, 쓰지 가쓰자부로의 아들)가 지어줬다 한다. (ko) 李圭完(イ・ギュワン、り・けいかん、朝鮮語:이규완、1862年11月15日-1946年12月15日)は、朝鮮の軍人、官僚、ならびに日本統治時代の朝鮮の官僚。甲申政変当時、徐載弼とともに政変勢力の武装隊指導者の一人であった。徐載弼とともに日本の士官学校で軍事訓練を受けて帰国したのち宮廷クーデターで行動隊長徐載弼を助け要人を排除する軍事行動を取った。 1910年日韓併合条約以降、朝鮮総督府と日本政府に対し朝鮮人の参政権と自治権を認めるよう主張した。 1907年に、守江原道観察使に任命され、1910年に江原道道長官、1918年咸鏡南道道長官、1919年咸鏡南道知事を務めた。日本亡命中に用いた仮名は圭寬、奎完、走完、日本名は淺田良、淺田良一など。 (ja) Lee Kyu-wan(Corea:이규완 李圭完, 15 de novembro 1864 - 15 de dezembro 1946) foi um político e revolucionário Coreano durante a Dinastia Joseon. Governador da província de Gangwon (1907 - 1910, 1910 - 1917), e Hamgyong do Sul de (1917 a 1924), Gangwon (1945). Em dezembro de 1884, ele fez parte de , mas o golpe foi sufocado em três dias. Lee teve que refugiar-se em Yamaguchi no Japão (pt) 李圭完(諺文:이규완,1862年11月15日-1946年12月15日),朝鮮王朝和日治時期的政治人物、思想家,曾參與甲申政變及甲申政變私兵的指揮官的一人。 他是朝鮮世宗五子臨瀛大君李璆的后裔。少年時期透過朴泳孝和徐載弼的提拔赴日本留學,1883年進入,1884年7月结业,同年8月歸國。其后他在擔任敎官。1884年12月4日參與甲申政變,失败后赴日本和美國流亡。1894年歸國后任職統衛營正領官、警務廳警務官,1895年甲午战争后任職警務副使。 1907年5月任西北營林廠事務官,同7月任中樞院副讚議,11月任江原道觀察使。1910年日韓併合后任江原道道長官,1917年-1924年任咸镜南道知事。 (zh)
dbo:alias Japanese: (en) Asada Ryo (아사다 료, 淺田良), (en) Asada Ryoichi (아사다 료이치, 淺田良一) (en)
dbo:birthDate 1862-11-15 (xsd:date)
dbo:birthPlace dbr:Gwangju dbr:Gyeonggi_Province
dbo:birthYear 1862-01-01 (xsd:gYear)
dbo:child dbr:Judoka dbr:Lee_Young-il dbr:Lee_Sun-kil
dbo:deathDate 1946-12-15 (xsd:date)
dbo:deathYear 1946-01-01 (xsd:gYear)
dbo:knownFor dbr:Korea
dbo:occupation dbr:Lee_Kyu-wan__PersonFunction__1
dbo:thumbnail wiki-commons:Special:FilePath/이규완.jpg?width=300
dbo:wikiPageExternalLink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3Fidxno=555784 http://www.kwnews.co.kr/nview.asp%3Fs=501&aid=212122300121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3Fidxno=463345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3Fidxno=555905 http://www.kwnews.co.kr/nview.asp%3Fs=601&aid=207032100045
dbo:wikiPageID 40057301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5745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1113425810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r:Joseon dbr:Joseon_Dynasty dbc:Yun_Chi-ho dbc:Joseon_politicians dbr:Gapsin_Coup dbc:Soh_Jaipil dbr:Yun_Chi-ho dbr:Gangwon_(historical_province) dbr:Gapsin_coup dbc:1862_births dbc:1946_deaths dbc:19th-century_Korean_people dbr:Gwangju dbr:Gyeonggi_Province dbr:Hangul dbr:Japan dbc:Korean_collaborators_with_Imperial_Japan dbc:Korean_politicians dbc:Officials_of_the_Korean_Empire dbr:Kim_Ok-gyun dbr:South_Hamgyong_Province dbr:Korea dbr:Korea_under_Japanese_rule dbr:Sejong_the_Great dbr:Judoka dbr:Japanese_names dbr:Seo_Jae-pil dbr:Lee_Young-il dbr:Lee_Sun-kil dbr:Park_Young-hyo dbr:Lee_(Korean_name) dbr:Nakamura_Umeko dbr:Northwestern_forestry_service_office
dbp:birthDate 1862-11-15 (xsd:date)
dbp:birthPlace dbr:Gwangju dbr:Gyeonggi_Province
dbp:caption Lee Kyu-wan, 1930 (en)
dbp:children dbr:Judoka dbr:Lee_Sun-kil Lee Young-il , painter and teacher (en)
dbp:deathDate 1946-12-15 (xsd:date)
dbp:knownFor revolutionist during Korea's Joseon period (en)
dbp:name Lee Kyu-wan (en)
dbp:nationality Korean (en)
dbp:occupation politician, philosopher, revolutionist (en)
dbp:otherNames Japanese: (en) Asada Ryoichi (en) Asada Ryo , (en)
dbp:wikiPageUsesTemplate dbt:Authority_control dbt:Birth_date dbt:Commons_category dbt:In_lang dbt:Infobox_person dbt:Reflist dbt:Death_date_and_age dbt:Family_name_hatnote
dcterms:subject dbc:Yun_Chi-ho dbc:Joseon_politicians dbc:Soh_Jaipil dbc:1862_births dbc:1946_deaths dbc:19th-century_Korean_people dbc:Korean_collaborators_with_Imperial_Japan dbc:Korean_politicians dbc:Officials_of_the_Korean_Empire
gold:hypernym dbr:Politician
schema:sameAs http://viaf.org/viaf/58005766
rdf:type owl:Thing foaf:Person dbo:Person dul:NaturalPerson wikidata:Q19088 wikidata:Q215627 wikidata:Q5 wikidata:Q729 dbo:Animal dbo:Eukaryote dbo:Species schema:Person yago:Accessory109759875 yago:BadPerson109831962 yago:CausalAgent100007347 yago:Confederate109953483 yago:Criminal109977660 yago:Leader109623038 yago:LivingThing100004258 yago:Object100002684 yago:Organism100004475 yago:Person100007846 yago:PhysicalEntity100001930 yago:Politician110450303 yago:Principal110474950 yago:WikicatJoseonDynastyPeople yago:WikicatKoreanCollaboratorsWithImperialJapan yago:WikicatKoreanPoliticians yago:Wrongdoer109633969 yago:YagoLegalActor yago:YagoLegalActorGeo yago:Whole100003553 yago:Wikicat19th-centuryKoreanPeople
rdfs:comment Lee Kyu-wan (hangul 이규완 李圭完; November 15, 1862 - December 15, 1946) was a politician, philosopher, and revolutionist during Korea's Joseon period. His Japanese names were Asada Ryo (아사다 료, 淺田良) and Asada Ryoichi (아사다 료이치, 淺田良一). In 1884, he was one of several military leaders in the brief Gapsin Coup, a Japanese-supported attempt to overthrow the royal palace in Seoul. (en) Lee Kyu-wan, né le 15 novembre 1862 et mort le 15 décembre 1946, est un homme d'État coréen durant la dynastie Joseon et de la Corée du Sud. Membre du mouvement nationaliste, il est en exil au Japon entre 1884 et 1894, 1895 et en 1898. Il est gouverneur de la province de Gangwon entre 1907 et 1918. Il devient gouverneur de la province de Hamgyong du Sud en 1918, jusqu'en 1924. (fr) 李圭完(イ・ギュワン、り・けいかん、朝鮮語:이규완、1862年11月15日-1946年12月15日)は、朝鮮の軍人、官僚、ならびに日本統治時代の朝鮮の官僚。甲申政変当時、徐載弼とともに政変勢力の武装隊指導者の一人であった。徐載弼とともに日本の士官学校で軍事訓練を受けて帰国したのち宮廷クーデターで行動隊長徐載弼を助け要人を排除する軍事行動を取った。 1910年日韓併合条約以降、朝鮮総督府と日本政府に対し朝鮮人の参政権と自治権を認めるよう主張した。 1907年に、守江原道観察使に任命され、1910年に江原道道長官、1918年咸鏡南道道長官、1919年咸鏡南道知事を務めた。日本亡命中に用いた仮名は圭寬、奎完、走完、日本名は淺田良、淺田良一など。 (ja) Lee Kyu-wan(Corea:이규완 李圭完, 15 de novembro 1864 - 15 de dezembro 1946) foi um político e revolucionário Coreano durante a Dinastia Joseon. Governador da província de Gangwon (1907 - 1910, 1910 - 1917), e Hamgyong do Sul de (1917 a 1924), Gangwon (1945). Em dezembro de 1884, ele fez parte de , mas o golpe foi sufocado em três dias. Lee teve que refugiar-se em Yamaguchi no Japão (pt) 李圭完(諺文:이규완,1862年11月15日-1946年12月15日),朝鮮王朝和日治時期的政治人物、思想家,曾參與甲申政變及甲申政變私兵的指揮官的一人。 他是朝鮮世宗五子臨瀛大君李璆的后裔。少年時期透過朴泳孝和徐載弼的提拔赴日本留學,1883年進入,1884年7月结业,同年8月歸國。其后他在擔任敎官。1884年12月4日參與甲申政變,失败后赴日本和美國流亡。1894年歸國后任職統衛營正領官、警務廳警務官,1895年甲午战争后任職警務副使。 1907年5月任西北營林廠事務官,同7月任中樞院副讚議,11月任江原道觀察使。1910年日韓併合后任江原道道長官,1917年-1924年任咸镜南道知事。 (zh) (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이규완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다. 그는 박영효의 식객이 되었다가 갑신정변에 행동대장 격으로 참여한 인물로, 박영효의 집사 출신이었다. 그는 서재필 등과 함께 병조 소속 군사를 이끌고 수구파 대신을 척살하는 역할을 하였다. (ko)
rdfs:label Lee Kyu-wan (fr) Lee Kyu-wan (en) 이규완 (ko) 李圭完 (官僚) (ja) Lee Kyu-wan (pt) 李圭完 (zh)
owl:sameAs freebase:Lee Kyu-wan http://viaf.org/viaf/58005766 wikidata:Lee Kyu-wan dbpedia-fr:Lee Kyu-wan dbpedia-ja:Lee Kyu-wan dbpedia-ko:Lee Kyu-wan dbpedia-pt:Lee Kyu-wan dbpedia-simple:Lee Kyu-wan dbpedia-zh:Lee Kyu-wan https://global.dbpedia.org/id/Ro3y yago-res:Lee Kyu-wan
prov:wasDerivedFrom wikipedia-en:Lee_Kyu-wan?oldid=1113425810&ns=0
foaf:depiction wiki-commons:Special:FilePath/이규완.jpg
foaf:isPrimaryTopicOf wikipedia-en:Lee_Kyu-wan
foaf:name Lee Kyu-wan (en)
is dbo:wikiPageRedirects of dbr:Asada_Ryo dbr:Asada_Ryoichi
is dbo:wikiPageWikiLink of dbr:Kōgen-dō dbr:Asada_Ryo dbr:Asada_Ryoichi
is foaf:primaryTopic of wikipedia-en:Lee_Kyu-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