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fer orbit (original) (raw)
천이궤도(遷移軌道, transfer orbit), 이행궤도는 36,000km의 원형 정지궤도에 이르는 중간 단계의 궤도를 말한다. 지구에서 가깝게는 1,352km, 멀게는 35,786km의 타원형이다. 일단 천이궤도에 진입한 인공위성은 아무 동력없이 순전히 뉴턴의 운동법칙에 따라 관성만으로 돌게 된다. 이후 원지점에서 원지점모터라는 추가 동력을 사용, 원형의 정지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위성은 원하는 목표로 수평이동하게 되는데 이것을 표류궤도라고 한다. 여러 종류의 천이궤도가 있으며 에너지 효율성, 천이 속도 면에서 다양하다. 다음을 포함한다: * 호만 전이 궤도 * Bi-elliptic transfer * 정지 천이 궤도 * 달천이궤도(Lunar transfer orbit)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천이궤도"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perty | Value |
---|---|
dbo:abstract | In orbital mechanics, a transfer orbit is an intermediate elliptical orbit that is used to move a spacecraft in an orbital maneuver from one circular, or largely circular, orbit to another. There are several types of transfer orbits, which vary in their energy efficiency and speed of transfer. These include: * Hohmann transfer orbit, an elliptical orbit used to transfer a spacecraft between two circular orbits of different altitudes in the same plane * Bi-elliptic transfer, a slower method of transfer, but one that may be more efficient than a Hohmann transfer orbit * Geostationary transfer orbit or geosynchronous transfer orbit is usually also a Hohmann transfer orbit * Lunar transfer orbit is an orbit that touches Low Earth orbit and a lunar orbit. (en) 천이궤도(遷移軌道, transfer orbit), 이행궤도는 36,000km의 원형 정지궤도에 이르는 중간 단계의 궤도를 말한다. 지구에서 가깝게는 1,352km, 멀게는 35,786km의 타원형이다. 일단 천이궤도에 진입한 인공위성은 아무 동력없이 순전히 뉴턴의 운동법칙에 따라 관성만으로 돌게 된다. 이후 원지점에서 원지점모터라는 추가 동력을 사용, 원형의 정지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위성은 원하는 목표로 수평이동하게 되는데 이것을 표류궤도라고 한다. 여러 종류의 천이궤도가 있으며 에너지 효율성, 천이 속도 면에서 다양하다. 다음을 포함한다: * 호만 전이 궤도 * Bi-elliptic transfer * 정지 천이 궤도 * 달천이궤도(Lunar transfer orbit)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천이궤도"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ko) |
dbo:wikiPageID | 2326415 (xsd:integer) |
dbo:wikiPageLength | 996 (xsd:nonNegativeInteger) |
dbo:wikiPageRevisionID | 1117476015 (xsd:integer) |
dbo:wikiPageWikiLink | dbr:Bi-elliptic_transfer dbc:Astrodynamics dbc:Orbits dbr:Orbit dbr:Geostationary_transfer_orbit dbr:Orbital_mechanics dbr:Geosynchronous dbr:Spacecraft dbr:Hohmann_transfer_orbit dbr:Circular_orbit dbr:Orbital_maneuver dbr:Low_Earth_orbit dbr:Elliptical_orbit |
dbp:wikiPageUsesTemplate | dbt:Short_description dbt:Astrodynamics |
dct:subject | dbc:Astrodynamics dbc:Orbits |
gold:hypernym | dbr:Stage |
rdf:type | dbo:Person yago:Line108593262 yago:Location100027167 yago:Object100002684 yago:Orbit108612049 yago:Path108616311 yago:PhysicalEntity100001930 yago:YagoGeoEntity yago:YagoLegalActorGeo yago:YagoPermanentlyLocatedEntity yago:WikicatEarthOrbits |
rdfs:comment | 천이궤도(遷移軌道, transfer orbit), 이행궤도는 36,000km의 원형 정지궤도에 이르는 중간 단계의 궤도를 말한다. 지구에서 가깝게는 1,352km, 멀게는 35,786km의 타원형이다. 일단 천이궤도에 진입한 인공위성은 아무 동력없이 순전히 뉴턴의 운동법칙에 따라 관성만으로 돌게 된다. 이후 원지점에서 원지점모터라는 추가 동력을 사용, 원형의 정지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위성은 원하는 목표로 수평이동하게 되는데 이것을 표류궤도라고 한다. 여러 종류의 천이궤도가 있으며 에너지 효율성, 천이 속도 면에서 다양하다. 다음을 포함한다: * 호만 전이 궤도 * Bi-elliptic transfer * 정지 천이 궤도 * 달천이궤도(Lunar transfer orbit)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천이궤도"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ko) In orbital mechanics, a transfer orbit is an intermediate elliptical orbit that is used to move a spacecraft in an orbital maneuver from one circular, or largely circular, orbit to another. There are several types of transfer orbits, which vary in their energy efficiency and speed of transfer. These include: (en) |
rdfs:label | 천이궤도 (ko) Transfer orbit (en) |
owl:sameAs | yago-res:Transfer orbit wikidata:Transfer orbit dbpedia-ko:Transfer orbit https://global.dbpedia.org/id/4wLVf |
prov:wasDerivedFrom | wikipedia-en:Transfer_orbit?oldid=1117476015&ns=0 |
foaf:isPrimaryTopicOf | wikipedia-en:Transfer_orbit |
is dbo:wikiPageWikiLink of | dbr:Apogee_kick_motor dbr:List_of_orbits dbr:Cycler dbr:Timeline_of_Mars_Reconnaissance_Orbiter dbr:Transiting_Exoplanet_Survey_Satellite dbr:Atlas_E/F dbr:International_Ultraviolet_Explorer dbr:Thaicom_6 dbr:Ariane_flight_VA256 dbr:Atmosphere_of_Mercury dbr:Mars dbr:Thrusters_(spacecraft) dbr:Orbital_maneuver dbr:Orbit_insertion dbr:Supersynchronous_orbit |
is foaf:primaryTopic of | wikipedia-en:Transfer_orb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