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ounjin Ok | Ewha Womans University (original) (raw)

Hyounjin Ok

Uploads

Papers by Hyounjin Ok

Research paper thumbnail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ctivity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2020

Research paper thumbnail of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0

Research paper thumbnail of An Exploration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Domain in Digital Literacy

Jagmun yeon'gu, Jun 1, 2017

Research paper thumbnail of Exploring Literacy Learner Profil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Cheongnameomun-gyoyuk, Dec 1, 2014

Research paper thumbnail of An Analysis of Meaning Construction between Texts and Pictures in Children's Picture Diaries

Adong haghoeji, Aug 31, 2013

Digital technology has advanced rapid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multimodal ways of meaning-mak... more Digital technology has advanced rapid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multimodal ways of meaning-making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Consequently, teaching multimodal literacies is becoming a major issue i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picture diaries as a means of teaching multimodal literacies. Picture diaries are one of the basic and unique multimodal texts used in lower elementary level classes in Korea. A further advantage is that it is a promising text model which can be taught in unplugged ways.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sing such picture diarie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wenty four 1 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constructed meaning with written language and pictures in composing picture diaries. 251 picture diaries composed during several months of their 1 st grade period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utilized both written language and pictures in diverse and creative ways to provide their audience with more comprehensive mean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need to consider their students as active multimodal meaning-makers and provide their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to practice multimodal meaning-making and share their experiences. Key Words:그림일기(picture diary),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s), 복합양식 문식성(multimodal literacy).

Research paper thumbnail of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리터러시 평가에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의 인지적 특성 탐색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뉴스 수용 양상 분석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Research paper thumbnail of 성인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Research paper thumbnail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Attitude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2016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Jun 1, 2018

Research paper thumbnail of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Jun 1, 2018

Research paper thumbnail of Upper elementary students’ value of and participation in digital literacy practices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2015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Education Reserch Institute, Oct 1, 2020

Research paper thumbnail of Exploring the Direction for Assessment Tool Development on Affective Domains of Digital Literacy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2015

Research paper thumbnail of Developing assessment factors for cogni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2018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기반 의사소통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 성과도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측면... more 디지털 기반 의사소통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 성과도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측면에 주목했을 뿐, 정의적 측면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이에 연구자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의 특성을 구체화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기존의 평가 도구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20여 개의 기존 평가 도구를 검토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실제적인 평가 도구가 부재하다는 것,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을 규정하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정의적 영역 전반을 다루면서도 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생들이 처한 리터러시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는 병리적 현상의 진단과 처방에서 벗어나 이를 보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평가하여 그 결과로 학생들의 상태를 설명해 줄 수 있어야만 할 것이다.

Research paper thumbnail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ctivity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2020

Research paper thumbnail of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0

Research paper thumbnail of An Exploration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Domain in Digital Literacy

Jagmun yeon'gu, Jun 1, 2017

Research paper thumbnail of Exploring Literacy Learner Profil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Cheongnameomun-gyoyuk, Dec 1, 2014

Research paper thumbnail of An Analysis of Meaning Construction between Texts and Pictures in Children's Picture Diaries

Adong haghoeji, Aug 31, 2013

Digital technology has advanced rapid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multimodal ways of meaning-mak... more Digital technology has advanced rapid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multimodal ways of meaning-making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Consequently, teaching multimodal literacies is becoming a major issue i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picture diaries as a means of teaching multimodal literacies. Picture diaries are one of the basic and unique multimodal texts used in lower elementary level classes in Korea. A further advantage is that it is a promising text model which can be taught in unplugged ways.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sing such picture diarie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wenty four 1 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constructed meaning with written language and pictures in composing picture diaries. 251 picture diaries composed during several months of their 1 st grade period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utilized both written language and pictures in diverse and creative ways to provide their audience with more comprehensive mean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need to consider their students as active multimodal meaning-makers and provide their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to practice multimodal meaning-making and share their experiences. Key Words:그림일기(picture diary),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s), 복합양식 문식성(multimodal literacy).

Research paper thumbnail of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리터러시 평가에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의 인지적 특성 탐색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뉴스 수용 양상 분석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Research paper thumbnail of 성인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Research paper thumbnail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Attitude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2016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Jun 1, 2018

Research paper thumbnail of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Jun 1, 2018

Research paper thumbnail of Upper elementary students’ value of and participation in digital literacy practices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2015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Education Reserch Institute, Oct 1, 2020

Research paper thumbnail of Exploring the Direction for Assessment Tool Development on Affective Domains of Digital Literacy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2015

Research paper thumbnail of Developing assessment factors for cogni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2018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Research paper thumbnail of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기반 의사소통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 성과도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측면... more 디지털 기반 의사소통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 성과도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측면에 주목했을 뿐, 정의적 측면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이에 연구자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의 특성을 구체화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기존의 평가 도구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20여 개의 기존 평가 도구를 검토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실제적인 평가 도구가 부재하다는 것,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을 규정하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정의적 영역 전반을 다루면서도 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생들이 처한 리터러시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는 병리적 현상의 진단과 처방에서 벗어나 이를 보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평가하여 그 결과로 학생들의 상태를 설명해 줄 수 있어야만 할 것이다.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