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hul Bang - Academia.edu (original) (raw)
Papers by In-Chul Bang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3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1
남한강 지류 흑천에 재도입 (2010~2012년)된 묵납자루의 서식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서식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2017년 (2회 조사)에는... more 남한강 지류 흑천에 재도입 (2010~2012년)된 묵납자루의 서식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서식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2017년 (2회 조사)에는 329개체를, 2018년 (4회 조사)에는 723개체를 채집하었고, 서식범위는 방류지점을 포함하여 약 5km 구간이었다. 묵납자루의 집단서식지는 방류지역소의 상류부로 유속이 있고 수심 0.4~1.2 m이며 큰돌과 돌이 많은 곳이었다. 산란기는 산란행동 및 당년생 치어 크기로 볼 때4월부터 6월로 추정되었으며, 성비는 암컷 438개체, 수컷 412개가 채집되어 1 : 0.94였다. 연령은 4월을 기준으로 전장 32~43mm는 만 1년생, 50~61mm는 만 2년생, 62~75mm는 만 3년생, 76~89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연령별 구성비는 채집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1년생 (또는 당년생), 2년생, 3년생, 4년생 이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안정적인 연령구조를 보였다. 따라서 흑천에 복원을 위해 재도입된 묵납자루는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안정적인 개체군을 이루고 점점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고유종 점줄종개 Cobitis nalbanti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를 조사하였다. 성어는 2011년 6월 영산강 상류인 전남 장성군 북하면 성암리에서 족대를 이용하여 채... more 한국고유종 점줄종개 Cobitis nalbanti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를 조사하였다. 성어는 2011년 6월 영산강 상류인 전남 장성군 북하면 성암리에서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채집된 성숙한 친어는 복강에 Ovaprim을 주사하고, 12시간 경과 후 복부압박법으로 채란하고 건식법으로 인공수정시켰다. 산란된 성 숙란은 약한 점착성을 띤 밝은 황색의 분리침성난으로 난경은 0.99±0.03 mm이고 산란수는 1,527±410개였다. 수온 25℃에서 수정 후 52시간 후에 50%가 부화하였으며, 크기는 전장 4.2±0.22 mm였다. 부화 5일 후에 전장 6.0±0.34 mm로 난황이 모두 흡수되어 후기자어로 이행하였으며, 15일 후에는 전장10.8±0.45mm로 지느러미 기조가 모두 정수로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00일 후에는 전장 41.1±2.95 mm로 4개의 점줄로 이루어진 Gambetta’s zone이 뚜렷하고 외형은 성어와 비교적 유사하였다.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Mar 1, 2017
한국고유어종 Squalidus multimaculatus의 난 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 more 한국고유어종 Squalidus multimaculatus의 난 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습식법으로 인공수정하였다. 수정란의 직경은 0.8~0.9 mm로 원형으로 투명한 황색을 띈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유구는 없었다....
Mitochondrial DNA Part B, Feb 1, 2022
Abstract We present the first report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psariichthys unciro... more Abstract We present the first report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which consists of 16,613 base pairs harboring 13 protein-coding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22 transfer RNA genes, and a control region (D-loop). The overall base composition of the complete genome is A (27.15%), C (27.15%), T (26.77%), G (18.92%). The complete mitogenome of O. uncirostris amurensis, which was most closely related to O. bidens in the Bayesian inference tree,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ylogeny of the genus Opsariichthys.
Mitochondrial DNA Part B, Jul 2, 2020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3
Han-gugeoryuhakoeji, Mar 31, 2021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2020
한국하천호수학회지, Dec 1, 2012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and Gobiob... mor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and Gobiobotia naktongensis were investigated in the Ji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Drainage System of Korea from May to October 2011. Ten to 23 fish species inhabited upper stream (St. 1~~St. 4) with a Aa-Bb river type composed of mostly pebble and cobble bottoms, 16~~28 species did middle stream (St. 5~~St. 7) with a Bb type composed of mostly cobble and boulder bottoms, and 20-29 species did lower stream (St. 8~~St. 10) with a Bb-Bc type composed of mostly sand bottoms. A total of 44 species belonging to nine families were found in the stream during the survay. The dominant species were in the order of Zacco platypus (37.2%), Pungtungia herzi (5.8%) and Pseudogobio esocinus (5.5%). Other abundant species included Acheilognathus lanceolatus (5.3%), Zacco koreanus (5.2%), Hemibarbus longirostris (4.9%)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3.5%). Among residing species, 16 species were endemic to Korea, two (Cobits choii and Gobiobotia naktongensis) were endangered, and one (Micropterus salmoides) was non-indigenous. The similarity index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clearly delineated the fish community of the Ji Stream according to the three major sections, which were defined at the above. Dominance index gradually decreased toward downstream, while diversity, evenness and species richness indexes gradually increased toward downstream. The two endangered species, C. choii and G. naktongensis co-occurred at the lower stream due to the prevalence of a sandy substratum.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4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11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3
Mitochondrial DNA Part B, Mar 4, 2022
Abstract We report the first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dontobutis obscurus, which consist... more Abstract We report the first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dontobutis obscurus, which consists of 17,038 bp harboring 13 protein-coding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22 transfer RNA genes, and a control region (D-loop). The overall base composition of the complete genome is A (30.63%), C (28.72%), T (25.70%), G (14.95%). The complete mitogenome of Odontobutis obscurus, most closely related to congeners in the Bayesian inference and maximum likelihood tree,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ylogeny of the genus Odontobutis.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3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1
남한강 지류 흑천에 재도입 (2010~2012년)된 묵납자루의 서식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서식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2017년 (2회 조사)에는... more 남한강 지류 흑천에 재도입 (2010~2012년)된 묵납자루의 서식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서식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2017년 (2회 조사)에는 329개체를, 2018년 (4회 조사)에는 723개체를 채집하었고, 서식범위는 방류지점을 포함하여 약 5km 구간이었다. 묵납자루의 집단서식지는 방류지역소의 상류부로 유속이 있고 수심 0.4~1.2 m이며 큰돌과 돌이 많은 곳이었다. 산란기는 산란행동 및 당년생 치어 크기로 볼 때4월부터 6월로 추정되었으며, 성비는 암컷 438개체, 수컷 412개가 채집되어 1 : 0.94였다. 연령은 4월을 기준으로 전장 32~43mm는 만 1년생, 50~61mm는 만 2년생, 62~75mm는 만 3년생, 76~89mm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연령별 구성비는 채집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1년생 (또는 당년생), 2년생, 3년생, 4년생 이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안정적인 연령구조를 보였다. 따라서 흑천에 복원을 위해 재도입된 묵납자루는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안정적인 개체군을 이루고 점점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고유종 점줄종개 Cobitis nalbanti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를 조사하였다. 성어는 2011년 6월 영산강 상류인 전남 장성군 북하면 성암리에서 족대를 이용하여 채... more 한국고유종 점줄종개 Cobitis nalbanti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를 조사하였다. 성어는 2011년 6월 영산강 상류인 전남 장성군 북하면 성암리에서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채집된 성숙한 친어는 복강에 Ovaprim을 주사하고, 12시간 경과 후 복부압박법으로 채란하고 건식법으로 인공수정시켰다. 산란된 성 숙란은 약한 점착성을 띤 밝은 황색의 분리침성난으로 난경은 0.99±0.03 mm이고 산란수는 1,527±410개였다. 수온 25℃에서 수정 후 52시간 후에 50%가 부화하였으며, 크기는 전장 4.2±0.22 mm였다. 부화 5일 후에 전장 6.0±0.34 mm로 난황이 모두 흡수되어 후기자어로 이행하였으며, 15일 후에는 전장10.8±0.45mm로 지느러미 기조가 모두 정수로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00일 후에는 전장 41.1±2.95 mm로 4개의 점줄로 이루어진 Gambetta’s zone이 뚜렷하고 외형은 성어와 비교적 유사하였다.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Mar 1, 2017
한국고유어종 Squalidus multimaculatus의 난 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 more 한국고유어종 Squalidus multimaculatus의 난 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된 암컷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습식법으로 인공수정하였다. 수정란의 직경은 0.8~0.9 mm로 원형으로 투명한 황색을 띈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유구는 없었다....
Mitochondrial DNA Part B, Feb 1, 2022
Abstract We present the first report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psariichthys unciro... more Abstract We present the first report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which consists of 16,613 base pairs harboring 13 protein-coding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22 transfer RNA genes, and a control region (D-loop). The overall base composition of the complete genome is A (27.15%), C (27.15%), T (26.77%), G (18.92%). The complete mitogenome of O. uncirostris amurensis, which was most closely related to O. bidens in the Bayesian inference tree,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ylogeny of the genus Opsariichthys.
Mitochondrial DNA Part B, Jul 2, 2020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3
Han-gugeoryuhakoeji, Mar 31, 2021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2020
한국하천호수학회지, Dec 1, 2012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and Gobiob... mor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and Gobiobotia naktongensis were investigated in the Ji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Drainage System of Korea from May to October 2011. Ten to 23 fish species inhabited upper stream (St. 1~~St. 4) with a Aa-Bb river type composed of mostly pebble and cobble bottoms, 16~~28 species did middle stream (St. 5~~St. 7) with a Bb type composed of mostly cobble and boulder bottoms, and 20-29 species did lower stream (St. 8~~St. 10) with a Bb-Bc type composed of mostly sand bottoms. A total of 44 species belonging to nine families were found in the stream during the survay. The dominant species were in the order of Zacco platypus (37.2%), Pungtungia herzi (5.8%) and Pseudogobio esocinus (5.5%). Other abundant species included Acheilognathus lanceolatus (5.3%), Zacco koreanus (5.2%), Hemibarbus longirostris (4.9%)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3.5%). Among residing species, 16 species were endemic to Korea, two (Cobits choii and Gobiobotia naktongensis) were endangered, and one (Micropterus salmoides) was non-indigenous. The similarity index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clearly delineated the fish community of the Ji Stream according to the three major sections, which were defined at the above. Dominance index gradually decreased toward downstream, while diversity, evenness and species richness indexes gradually increased toward downstream. The two endangered species, C. choii and G. naktongensis co-occurred at the lower stream due to the prevalence of a sandy substratum.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4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11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13
Mitochondrial DNA Part B, Mar 4, 2022
Abstract We report the first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dontobutis obscurus, which consist... more Abstract We report the first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Odontobutis obscurus, which consists of 17,038 bp harboring 13 protein-coding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22 transfer RNA genes, and a control region (D-loop). The overall base composition of the complete genome is A (30.63%), C (28.72%), T (25.70%), G (14.95%). The complete mitogenome of Odontobutis obscurus, most closely related to congeners in the Bayesian inference and maximum likelihood tree,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ylogeny of the genus Odontobu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