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nz Kafka Research Papers - Academia.edu (original) (raw)
“언제 어떻게 하나의 기록이 문학이 되는가? 그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이는 무엇 때문이며 누구 때문인가?” “프랑스가 지구상에 배출한 가장 위대한 철학자 중 한 사람”(자크 시라크)이자 ‘해체주의’를 창시하여 기존 서양 철학의 전통을 뒤엎으며 현대 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힌 자크 데리다. 그의 문학론을 묶어 펴낸 흥미로운 책이 문학과지성사에서 ‘현대의 문학 이론’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한 편의 인터뷰와 열 편의... more
“언제 어떻게 하나의 기록이 문학이 되는가?
그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이는 무엇 때문이며 누구 때문인가?”
“프랑스가 지구상에 배출한 가장 위대한 철학자 중 한 사람”(자크 시라크)이자 ‘해체주의’를 창시하여 기존 서양 철학의 전통을 뒤엎으며 현대 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힌 자크 데리다. 그의 문학론을 묶어 펴낸 흥미로운 책이 문학과지성사에서 ‘현대의 문학 이론’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한 편의 인터뷰와 열 편의 에세이로 구성된 『문학의 행위』(데릭 애트리지 엮음, 정승훈・진주영 옮김)가 바로 그것.
데리다의 문학론―한 편의 인터뷰와 열 편의 에세이
자크 데리다는 초기작에서부터 문학의 부름을 받아왔다. 희곡, 시, 소설을 포함하여 불어, 독어, 영어로 된 텍스트에 이르기까지 ‘문학’에 대한 데리다의 글은 넘쳐난다. 이 책은 이러한 광범위한 문학 텍스트들에 대한 데리다의 응답들 다수를 몇 가지 기준에 따라 선택하여 한자리에 모은 것이다.
데리다와의 인터뷰를 포함해 모두 11편의 글로 이루어진 이 책은 루소, 말라르메, 카프카, 블랑쇼, 조이스, 퐁주, 첼란, 그리고 셰익스피어에 이르기까지 문학과 철학 사이의 접면을 전례 없는 방식으로 횡단하며 데리다 특유의 해체적 독서를 시도한다. 이렇듯 책에 실린 데리다의 텍스트들이 응답하고 있는 구체적인 작품들은 문학의 모든 행위—행위와 기록—이다. 즉 관습적이고 제도적으로 ‘문학적’이라고 범주화된 작품들이자, 또한 어떤 식으로든 문학을 수행하고 상연하며 그것의 법을 수립하거나 의문시하는 작품들, 제도와 범주를 확인하는 동시에 그것들로부터 내적인 거리를 두고 작동하는 작품들. 이런 의미에서 데리다의 텍스트들 또한 ‘문학 행위’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책 서두에 실린 인터뷰는 ‘문학’과 ‘철학’의 문제를 비롯해 정치, 역사, 페미니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는 데리다 사상의 면모를 그의 육성을 통해 답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로운 독서를 제공한다. 엮은이인 데릭 애트리지의 세심한 편집 또한 이 책이 지닌 미덕이다. 상세한 머리말과 한 챕터 분량의 개론, 그리고 데리다와의 인터뷰는 이 선집이 갖는 의도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각 글들 첫머리에 핵심과 맥락을 짚어주는 소개글을 덧붙임으로써, 난해하기로 악명 높은 데리다 텍스트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던져준다.
“문학이라 불리는 이상한 제도”―데리다와 문학의 문제
그렇다면 데리다에게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 연구에 몸담아온 모든 이들에게 핵심적일 수밖에 없는 이 질문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서양 철학 전통 내에서도 끊임없이 반복하여 제기되어왔다. 이는 결국 문학적 질문이 아니라 철학적인 질문이다. 이 질문은 문학의 본질에 대한 진술을, 문학을 문학이 아닌 모든 것과 구별하는 요소를 추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분리될 수 없으며 문화, 정치, 윤리 혹은 역사를 포함한 모든 고려 속에 내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데리다가 강조하는 바는 “문학이 하나의 제도”라는 점이다. 그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문학적인 텍스트란 없”으며, “문학은 자연적으로 혹은 머릿속에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역사적, 지리적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는 사회적, 법적, 정치적 과정에 의해 생겨났다.” 특히 17세기 혹은 18세기 이래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경험해온 문학이라는 제도는, 우리 주변의 여러 언어적 실천 가운데서도 문학을 독특한 어떤 것으로 만드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데리다는 바로 그 특이성을 강조한다. “관습과 규칙 등을 가진 역사적 제도로서의 문학, 그러나 또한 원칙적으로 모든 것을 말할 힘을 가진, 이러한 규칙을 어기고 이를 몰아냄으로써 자연과 제도, 자연과 관습법, 자연과 역사 사이의 전통적 차이점을 도입하고 발명하고 더 나아가 의문시하는 그러한 제도로서의 문학.”
이러한 의미에서 거의 최초와 다름없는 이 문학 선집이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고 할 수 있다. 서구의 사고방식을 가능하게 한 숨겨진 조건으로서 ‘문자’를 탐구하는 것이 바로 ‘해체’라 불리는 데리다의 작업이었고, 따라서 그의 작업은 서구 사상을 대표하는 구체적인 작품들에 밀착한 연구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데리다의 ‘철학 텍스트 읽기’가 아닌 ‘문학 텍스트 읽기’ 작업을 한데 모은 이 책은, 이런 의미에서 난해하기 짝이 없는 ‘해체’란 현상을 이해하는 또 다른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데리다 작품에 나타난 문학, 즉 문학 텍스트와 문학이라는 제도의 의미를, 그리고 문학에 있어서의 데리다 저작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루소, 말라르메, 조이스, 퐁주, 카프카, 셰익스피어……
‘문학’과 ‘철학’ 사이를 종횡무진 횡단하는 지적 사유의 모험
이렇듯 문학 텍스트에 대한 데리다의 글쓰기는 어떠한 관습적인 의미에서도 논평이나 비평, 해석이 아니다. 데리다의 글쓰기는 문학작품을 위치 짓거나 장악하거나 철저히 규명하거나 번역하거나 꿰뚫어보지 않는다. 문학에 대한 데리다의 텍스트는 문학적인 정도 이상으로 철학적인 것은 아니라 해도 여전히 철학적인 질문에 사로잡혀 있으며, 문학 텍스트에 의한 철학의 해체가 감지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문학에서 문학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전면에 내세운다. 문학이라는 단어를 글쓰기나 법과 같은 용어로 만드는 그 무엇, 문학이 속한 담론과 제도를 뒤흔들 수 있는 그 무엇 말이다.
1장 「“문학이라 불리는 이상한 제도”」는 엮은이인 데릭 애트리지와 자크 데리다와의 인터뷰로 책 전반을 아우르는 구체적인 질문과 답변을 통해 ‘문학’과 ‘철학’의 문제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냈다. 인터뷰는 데리다의 제안으로 성사되었으며 이전에 출판된 적은 없다. 2장 「“이 위험한 대리보충”」은 데리다의 주저 『그라마톨로지』 제2부 2장으로, 루소 텍스트들 가운데 ‘대리보충’이라는 단어의 변덕스러운 사용에 주목했다. 3장 「말라르메」는 제목 그대로 말라르메 작품에 관한 짧은 논의를 담고 있다. “문학적”이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말라르메의 글쓰기는 문학과 문학 비평의 전통적인 범주를 뒤흔든다. 데리다에게 말라르메가 야기하고 징후화하는 위기는 새로우면서도, 또 아주 오래된 것이기도 하다. 4장 「첫번째 세션」에서 데리다는 어떻게 해서 미메시스가 진리 개념과 밀접히 연관되어왔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데리다는 미메시스 개념의 내적 모순들이 분명히 드러나 있는 플라톤의 『필레보스』 발췌본과, 그 모순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말라르메의 짧은 산문시 「미미크」를 겹쳐놓는다. 5장 「법 앞에서」는 이 글에서 인용하는 카프카 우화의 제목과 동일하다.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자기 심문적 질문은 카프카의 짤막한 우화 「법 앞에서」에 대한 폭넓은 독해에서 다시금 제기된다. 6장 「장르의 법칙」은 5장 「법 앞에서」와 묶여 풍성하게 읽힐 수 있다. 「장르의 법칙」은 다른 문학 텍스트에서 출발하여, 법과 법의 대리인들에 대한 의무의 문제와 씨름하며, 또한 그 문제에 다가가는 데 있어서의 문학의 중요성을 붙잡고 늘어지는 에세이다. 7장 「율리시스 축음기: 소문으로 들은 조이스의 예스」는 조이스에 관한 데리다의 에세이로, 제9회 국제 제임스 조이스 심포지엄의 초청으로 개회 연설을 했을 당시 발표한 글이다. 8장 「「프시케: 타자의 발명」 중에서」에서 데리다는 프랑시스 퐁주를 논하며 ‘발명’이라는 이슈를 통해 ‘타자’라는 문제를 다룬다. 9장 「『시네퐁주』 중에서」는 8장에 이어 퐁주를 다루며, 서명과 고유명사라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문제에 매진한다. 10장 「『쉬볼렛: 파울 첼란을 위하여』 중에서」는 첼란 시에서 따온 여러 가지 모티프를 통해 그 이중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 글에서는 암호 쉬볼렛, 할례, 재 그리고 날짜가 포함된다. 데리다가 “날짜의 수수께끼”라 부르는 이 특성이 이 글에서 가장 두드러진 주제를 이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11장 「아포리즘 대응시간」은 1986년 『로미오와 줄리엣』 파리 공연에 앞서 다니엘 메스기슈의 초청으로 마련된 데리다의 강연을 계기로 씌어졌다. 이 희곡은 서구 문화 역사 전체에 걸쳐 지속되는 문제점들을 표출하고 있음과 동시에 가장 친숙하고도 재소비되는 아이콘들 중 하나다. 데리다는 이 같은 두 가지 특성에 반응하고 이 둘을 대응시간에 초점을 맞춰 연결시킨다.
개론: 데리다와 문학의 문제_ 데릭 애트리지
1장 “문학이라 불리는 이상한 제도”_ 자크 데리다와의 인터뷰
2장 “이 위험한 대리보충”
3장 말라르메
4장 첫번째 세션
5장 법 앞에서
6장 장르의 법칙
7장 율리시스 축음기: 소문으로 들은 조이스의 예스
8장 「프시케: 타자의 발명」 중에서
9장 『시네퐁주』 중에서
10장 『쉬볼렛: 파울 첼란을 위하여』 중에서
11장 아포리즘 대응시간